summaryrefslogtreecommitdiff
path: root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howto.rst
diff options
context:
space:
mode:
authorLinus Torvalds <torvalds@linux-foundation.org>2019-12-02 11:51:02 -0800
committerLinus Torvalds <torvalds@linux-foundation.org>2019-12-02 11:51:02 -0800
commit937d6eefc716a9071f0e3bada19200de1bb9d048 (patch)
tree7b2b8e94d157ddbacc2b0712fd5d20a8b4d79c27 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howto.rst
parent2c97b5ae83dca56718774e7b4bf9640f05d11867 (diff)
parent36bb9778fd11173f2dd1484e4f6797365e18c1d8 (diff)
Merge tag 'docs-5.5a' of git://git.lwn.net/linux
Pull Documentation updates from Jonathan Corbet: "Here are the main documentation changes for 5.5: - Various kerneldoc script enhancements. - More RST conversions; those are slowing down as we run out of things to convert, but we're a ways from done still. - Dan's "maintainer profile entry" work landed at last. Now we just need to get maintainers to fill in the profiles... - A reworking of the parallel build setup to work better with a variety of systems (and to not take over huge systems entirely in particular). - The MAINTAINERS file is now converted to RST during the build. Hopefully nobody ever tries to print this thing, or they will need to load a lot of paper. - A script and documentation making it easy for maintainers to add Link: tags at commit time. Also included is the removal of a bunch of spurious CR characters" * tag 'docs-5.5a' of git://git.lwn.net/linux: (91 commits) docs: remove a bunch of stray CRs docs: fix up the maintainer profile document libnvdimm, MAINTAINERS: Maintainer Entry Profile Maintainer Handbook: Maintainer Entry Profile MAINTAINERS: Reclaim the P: tag for Maintainer Entry Profile docs, parallelism: Rearrange how jobserver reservations are made docs, parallelism: Do not leak blocking mode to other readers docs, parallelism: Fix failure path and add comment Documentation: Remove bootmem_debug from kernel-parameters.txt Documentation: security: core.rst: fix warnings Documentation/process/howto/kokr: Update for 4.x -> 5.x versioning Documentation/translation: Use Korean for Korean translation title docs/memory-barriers.txt: Remove remaining references to mmiowb() docs/memory-barriers.txt/kokr: Update I/O section to be clearer about CPU vs thread docs/memory-barriers.txt/kokr: Fix style, spacing and grammar in I/O section Documentation/kokr: Kill all references to mmiowb() docs/memory-barriers.txt/kokr: Rewrite "KERNEL I/O BARRIER EFFECTS" section docs: Add initial documentation for devfreq Documentation: Document how to get links with git am docs: Add request_irq() documentation ...
Diffstat (limited to '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howto.rst')
-rw-r--r--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howto.rst56
1 files changed, 27 insertions, 29 deletions
diff --git a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howto.rst b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howto.rst
index b3f51b19de7c..ae3ad897d2ae 100644
--- a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howto.rst
+++ b/Documentation/translations/ko_KR/howto.rst
@@ -240,21 +240,21 @@ ReST 마크업을 사용하는 문서들은 Documentation/output 에 생성된
서브시스템에 특화된 커널 브랜치들로 구성된다. 몇몇 다른 메인
브랜치들은 다음과 같다.
- - main 4.x 커널 트리
- - 4.x.y - 안정된 커널 트리
- - 서브시스템을 위한 커널 트리들과 패치들
- - 4.x - 통합 테스트를 위한 next 커널 트리
+ - 리누스의 메인라인 트리
+ - 여러 메이저 넘버를 갖는 다양한 안정된 커널 트리들
+ - 서브시스템을 위한 커널 트리들
+ - 통합 테스트를 위한 linux-next 커널 트리
-4.x 커널 트리
+메인라인 트리
~~~~~~~~~~~~~
-4.x 커널들은 Linus Torvalds가 관리하며 https://kernel.org 의
-pub/linux/kernel/v4.x/ 디렉토리에서 참조될 수 있다.개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.
+메인라인 트리는 Linus Torvalds가 관리하며 https://kernel.org 또는 소스
+저장소에서 참조될 수 있다.개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.
- 새로운 커널이 배포되자마자 2주의 시간이 주어진다. 이 기간동은
메인테이너들은 큰 diff들을 Linus에게 제출할 수 있다. 대개 이 패치들은
- 몇 주 동안 -next 커널내에 이미 있었던 것들이다. 큰 변경들을 제출하는 데
- 선호되는 방법은 git(커널의 소스 관리 툴, 더 많은 정보들은
+ 몇 주 동안 linux-next 커널내에 이미 있었던 것들이다. 큰 변경들을 제출하는
+ 데 선호되는 방법은 git(커널의 소스 관리 툴, 더 많은 정보들은
https://git-scm.com/ 에서 참조할 수 있다)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순수한
패치파일의 형식으로 보내는 것도 무관하다.
- 2주 후에 -rc1 커널이 릴리즈되며 여기서부터의 주안점은 새로운 커널을
@@ -281,28 +281,25 @@ Andrew Morton의 글이 있다.
버그의 상황에 따라 배포되는 것이지 미리정해 놓은 시간에 따라
배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."*
-4.x.y - 안정 커널 트리
-~~~~~~~~~~~~~~~~~~~~~~
+여러 메이저 넘버를 갖는 다양한 안정된 커널 트리들
+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
-3 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버젼의 커널들은 -stable 커널들이다. 그것들은 4.x
-커널에서 발견된 큰 회귀들이나 보안 문제들 중 비교적 작고 중요한 수정들을
-포함한다.
+3 자리 숫자로 이루어진 버젼의 커널들은 -stable 커널들이다. 그것들은 해당 메이저
+메인라인 릴리즈에서 발견된 큰 회귀들이나 보안 문제들 중 비교적 작고 중요한
+수정들을 포함하며, 앞의 두 버전 넘버는 같은 기반 버전을 의미한다.
이것은 가장 최근의 안정적인 커널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브랜치이며,
개발/실험적 버젼을 테스트하는 것을 돕고자 하는 사용자들과는 별로 관련이 없다.
-어떤 4.x.y 커널도 사용할 수 없다면 그때는 가장 높은 숫자의 4.x
-커널이 현재의 안정 커널이다.
-
-4.x.y는 "stable" 팀<stable@vger.kernel.org>에 의해 관리되며 거의 매번 격주로
-배포된다.
+-stable 트리들은 "stable" 팀<stable@vger.kernel.org>에 의해 관리되며 거의 매번
+격주로 배포된다.
커널 트리 문서들 내의 :ref:`Documentation/process/stable-kernel-rules.rst <stable_kernel_rules>`
파일은 어떤 종류의 변경들이 -stable 트리로 들어왔는지와
배포 프로세스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설명한다.
-서브시스템 커널 트리들과 패치들
-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
+서브시스템 커널 트리들
+~~~~~~~~~~~~~~~~~~~~~~
다양한 커널 서브시스템의 메인테이너들 --- 그리고 많은 커널 서브시스템 개발자들
--- 은 그들의 현재 개발 상태를 소스 저장소로 노출한다. 이를 통해 다른 사람들도
@@ -324,17 +321,18 @@ Andrew Morton의 글이 있다.
대부분의 이러한 patchwork 사이트는 https://patchwork.kernel.org/ 또는
http://patchwork.ozlabs.org/ 에 나열되어 있다.
-4.x - 통합 테스트를 위한 next 커널 트리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서브시스템 트리들의 변경사항들은 mainline 4.x 트리로 들어오기 전에 통합
-테스트를 거쳐야 한다. 이런 목적으로, 모든 서브시스템 트리의 변경사항을 거의
-매일 받아가는 특수한 테스트 저장소가 존재한다:
+통합 테스트를 위한 linux-next 커널 트리
+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~
+
+서브시스템 트리들의 변경사항들은 mainline 트리로 들어오기 전에 통합 테스트를
+거쳐야 한다. 이런 목적으로, 모든 서브시스템 트리의 변경사항을 거의 매일
+받아가는 특수한 테스트 저장소가 존재한다:
https://git.kernel.org/?p=linux/kernel/git/sfr/linux-next.git
-이런 식으로, -next 커널을 통해 다음 머지 기간에 메인라인 커널에 어떤 변경이
-가해질 것인지 간략히 알 수 있다. 모험심 강한 테스터라면 -next 커널에서 테스트를
-수행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.
+이런 식으로, linux-next 커널을 통해 다음 머지 기간에 메인라인 커널에 어떤
+변경이 가해질 것인지 간략히 알 수 있다. 모험심 강한 테스터라면 linux-next
+커널에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.
버그 보고